(1)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주주총회에서 사이버트럭을 올해 내 인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2010년 이후 매년 매출 성장을 기록한 홈디포는 1분기 실적 부진, 예상보다 약한 수요로 올해 연간 매출액이 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3) 두번째 부채한도 협상 이후 바이든 대통령과 의회 직원들은 수일 내 협상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습니다.

슬슬 발생하는 역전세 리스크

· 서울, 21년 최고가 대비 하락 거래 속출
· 강남, 목동 등 최고가 대비 5억 이상 하락
· 21년 말 고점이어서 하반기 역전세난 우려

계속해서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는 역전세 소식이 들리고 있습니다. 문제는 21년 말이 부동산 시세 최고점이었기에 23년 하반기 역전세에 대한 우려가 더 많다는 거죠.

 

개포동 디에이치(84제곱)
· 21년 9월 18.5억
· 23년 5월 12.5억(-6억)

 

잠실 트리지움(84제곱)
· 21년 10월 14.8억
· 23년 5월 9.8억(-5억)

 

반포 아크로리버파크(84제곱)
· 22년 5월 23억
· 23년 5월 15.5억(-7.5억)

 

종로 경희궁자이(84제곱)
· 21년 10월 14억
· 23년 5월 9억(-5억)

 

역전세가 왜 위험하나요

· (세입자) 보증금 못 돌려받을 수 있음
· (집주인) 보증금 마련 위해 급매해야 함
· (부동산 시장) 매물↑나 하방압력 강해짐

실제로는 좀 더 복잡한 영향이 있겠지만 대충 정리해보면 저런 리스크가 발생하게 됩니다. 근데 이런 물량이 넘쳐난다...? 당연히 주택시장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겠지요. 일단, 계속해서 추이를 지켜보시지요

 

전세가 하락 사례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257343?sid=101

 

(1) 5월 미시건대 소비자 심리지수는 57.7로 예상치(63.0)를 하회했고, 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2%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와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만나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되는 반도체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메커시 미 상원 의장은 화요일에 부채 한도 협상을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소송에 큰 자신감을 드러내며 소송이 6개월 내 종료될 것이라는 생각을 밝혔다.

갈링하우스 CEO는 8일 두바이에서 CNBC와 인터뷰를 통해 소송 승리를 위해 2억달러(한화 약 2649억원) 지출했다는 소식을 밝혔다.

그는 "이 자리를 빌어 처음 말하는 바이지만 소송에 약 2억달러를 소비했다"며 "소송은 3~6개월 내 종료될 것이다"고 말했다.

갈링하우스 CEO가 밝힌 큰 소송 비용 지출 이유는 미국 내 리플(XRP) 판매를 통한 명확한 리플 사업 운영을 위해서다.

그는 "소송에서 이길 경우 리플의 정의는 명확해질 것이다"고 설명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승소에 대한 자신감으로 가득하다.

그는 7일 참석한 XRP 라스베가스 행사 연설을 통해 "리플은 소송에서 반드시 이길 것이다"는 멘트를 남겼다.

# "리플 승소해도 미국 내 他 암호화폐 기업, 여전히 어려울 것"

갈링하우스 CEO는 미국이 암호화폐 규제 문제에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점을 지적, 암호화폐 패권이 타 국가로 넘어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규제당국의 태도를 고려할 때 리플이 소송에서 승리해도 암호화폐 기업들에 대한 입지는 불분명할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인으로서, 암호화폐 산업을 대하는 미국의 태도에 깊은 유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두바이, 싱가포르, 스위스 등 타 국가들이 규제 가이드라인 제시와 시장 유치를 통해 새로운 암호화폐 자본 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최근 SEC를 비롯한 미국 규제당국의 엄격한 규제 집행이 철저히 정치적인 행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정책보다는 정치를 우선시하는 곳으로 이를 통해 경제 분야를 규제하려는 경우 이는 매우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 "'중동 공략' 박차 가한다"

갈링하우스 CEO는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에 새로운 리플 사무실을 설립했다고 밝혔다. 리플이 공들여오던 '중동 공략'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9일 자신의 트위터에 "두바이는 새로운 '크립토 허브'로 명확한 규제를 제시하며 사업을 선도하는 곳이다"며 "리플 고객의 20%가 중동 지역에 머무는 것을 고려해 중동 사업 확장을 추진한다"고 서술했다.

실제로 리플과 중동은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리플의 은행 파트너 연합인 리플넷에 UAE의 푸자이라 국립은행(National Bank of Fujairah)과 사우디 브리티쉬 은행(Saudi British Bank)이 속하게 됐다. 또한 중동의 최대 결제서비스 제공업체 중 한 곳인 파이플(Pyypl)은 리플의 송금망 ODL을 도입했다.

DIFC는 두바이 규제당국이 특별 경제 구역으로 암호화폐 산업을 위한 선도적인 정책을 시행하는 지역이다.

지난해 DIFC는 새 규제안 적용을 통해 구역 내 기업들이 ▲투자 자문 ▲거래 ▲주선 ▲커스터디(수탁) 등 암호화폐 금융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허용 범위를 확장한 바 있다.

 

출처:https://www.blockstreet.co.kr/news/view?ud=2023050910161673057

 

 

온버프(ONIT) 원화마켓 신규 거래지원 안내

 

안녕하세요. 코인원입니다.

 

코인원이 온버프(ONIT) 종목을 원화마켓에 신규 거래지원합니다.

코인원 거래소에서는 온버프(ONIT) 종목을 한국 원화(KRW)로 직접 사고팔 수 있는 ONIT/KRW 거래기능을 제공합니다.

온버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코인원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명세서를 아래에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1. 온버프(ONIT) 거래 정보

- 명세서: https://research.coinone.co.kr/primer/ONIT_digital_asset_info_20230508.pdf

- Xangle 대시보드: https://xangle.io/project/ONIT/key-info

 

1) 종목명

- 종목명: 온버프

- 화폐단위: ONIT

※ ONIT 가격 참고: 기준 종가 2023년 5월 7일 기준 46.04원(0.03 USD, 원/달러환율 1322원)

 

-종목설명

Onbuff는 게임, NFT 등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지식재산권(IP) 활성화에 주력하는 IP 기반 블록체인 콘텐츠 플랫폼으로, ONIT 토큰은 해당 플랫폼 내에서 운영중인 라그나로크 라비린스 NFT, NFT 마켓플레이스 등의 재 화를 구매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생태계에 참여하는 유저들은 게임 참여를 통해 Onbuff 포인트 를 획득하고, 이를 플래닛 토큰으로 스왑할 수 있습니다. 플래닛 토큰은 유니스왑을 통해 Onbuff 플랫폼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ONIT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Onbuff는 유명 IP 보유사인 SNK, Gravity, Iconix 등의 파트너사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으며, 미래 유망한 IP들이 컨텐츠 제공을 목표로한 INNO Platform을 개발하였습니다. IP 보유사 및 개발사 등은 INNO Platform의 특정 플래닛에서 자사의 IP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및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플랫폼 이용자들은 해당 컨텐츠를 소비 하는데 ONI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토큰이코노미를 통해 Onbuff는 IP 라이센싱 플랫폼에 더욱 긍정적 시너지를 주고자 하며 2023년에는 INNO Platform 기능의 확장 및 기존 IP 파트너사 뿐만아니라 추가적인 IP 보유사들의 게임 컨텐츠 등의 플랫폼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 추후 일정

- 입금 가능 시기: 2023년 5월 9일(화) 오전 10시 (KST)

- 거래 가능 시기:

a) 매도 오픈: 2023년 5월 9일(화) 오후 2시 (KST)

b) 매수 오픈: 2023년 5월 9일(화) 오후 2시 5분 (KST)

- 출금 가능 시기: 2023년 5월 9일(화) 오후 2시 (KST)

 

3) 거래화폐: KRW(원화)로 매수 가능

 

4) 거래 수수료: 0.2%

 

5) 입출금 수수료

- 입금 수수료: 없음

- 출금 수수료: 65 ONIT

 

 

2. 온버프(ONIT) 종목 정보

- 공식 웹사이트: https://onbuff.com/

- 백서: https://onbuff-inno.gitbook.io/kor-whitepaper/

 

[온버프(ONIT) 공식 커뮤니티 안내]

- 트위터: https://twitter.com/onbuffchain

- 미디엄: https://medium.com/onbuff-main

- 텔레그램: https://t.me/onbuff_official_kr

 

 

3. 유의사항

- 코인원에서는 가상자산 종목 상장과 관련한 어떠한 투자 권유도 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 거래 시에는 가격 변동에 따른 원금 손실 위험이 있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 ERC20의 경우 가스의 가격에 따라 출금수수료의 변동이 클 수 있습니다. 입출금 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다시 0.25%포인트 ‘베이비 스텝’을 밟으며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시장은 사실상 금리 인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받아들였다. 증권가의 시선은 FOMC보다 미국 지역은행들의 위기감 고조와 개별 기업 실적으로 눈을 돌린 상태다.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는 가운데 국내 증시는 실적 발표와 함께 종목별 차별화가 이뤄지면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5월2일~4일) 동안 코스피 지수는 0.02%(0.59포인트) 하락한 2500.94에 마감하면서 2500선을 지켰다. 이 기간 코스피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07억원, 2930억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3042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0.26%(2.23포인트) 상승한 845.06에 마쳤다. 코스닥에서 개인들은 3001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527억원, 1328억원 순매도했다.

지난 한 주간 국내 증시는 FOMC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미국 지역은행들에 대한 위기감 속에 ‘눈치 보기’ 장세를 나타냈다. 앞서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올린다고 밝혔다. 다만, 성명서에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문구가 삭제됐다. 그 대신 ‘누적된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칠 여파를 점검하겠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우리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면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는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이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경계했다.
이에 대해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가능성은 더는 새로운 재료가 아니라는 인식이 작용했기 때문에 시장은 FOMC보다 경기 하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지방은행 사태 여파가 이어지고 있고, 여전히 미국의 고용시장이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이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을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한숨을 돌린 것도 잠시, 팩웨스트 뱅코프 주가가 지난 4일(현지시간) 50.62% 폭락한 후 이튿날 81.70% 상승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팩웨스트 뱅코프는 그간 퍼스트리퍼블릭에 이은 위기 은행으로 지목받아 왔다.

또한, 미 노동부가 지난 5일(현지시간) 발표한 노동시장 지표에 따르면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5만3천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인 18만명 증가를 웃돌았다. 4월 실업률은 3.4%로 전월의 3.5%에서 소폭 하락해 시장 예상치인 3.6%도 밑돌았다.

 

출처: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0806635606624&mediaCodeNo=257&OutLnkChk=Y

미 증시 3대 지수는 상승 마감 했습니다.

S&P500: +1.96%
나스닥: +2.76%
다우: +1.57%

 

 

 

 

 

1. 은행 위기는 끝났다.
=은행 전체 자산의 5~7% 신용 수축이 더 발생할 것

2. 리세션은 피할 수 있다.
=그럴 수도 있지만, 리세션 확률은 75%

3. 유럽은 미국이 없는 게 더 낫다.
=유럽은 그저 미국을 후행할 뿐

4. 중국 건설은 돌아오지 않는다.
=고금리 부동산 신용과 주택 착공 지수를 보면 앞으로 건설될 주택 수가 많다.

 

 

 

 

 

 

 

 

 

 

 

출처: https://twitter.com/AndreasSteno/status/1650110420030562305

'차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25일 비트코인 시황  (0) 2023.05.25
GALA 차트 분석  (0) 2023.05.25
5/24 비트코인 시황  (1) 2023.05.24
비트코인은 21개월 지속  (0) 2023.04.21
4월 12일 비트코인 이더리움 차트분석  (1) 2023.04.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