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다시 0.25%포인트 ‘베이비 스텝’을 밟으며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시장은 사실상 금리 인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받아들였다. 증권가의 시선은 FOMC보다 미국 지역은행들의 위기감 고조와 개별 기업 실적으로 눈을 돌린 상태다.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는 가운데 국내 증시는 실적 발표와 함께 종목별 차별화가 이뤄지면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주(5월2일~4일) 동안 코스피 지수는 0.02%(0.59포인트) 하락한 2500.94에 마감하면서 2500선을 지켰다. 이 기간 코스피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07억원, 2930억원 순매수했다. 기관은 3042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0.26%(2.23포인트) 상승한 845.06에 마쳤다. 코스닥에서 개인들은 3001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527억원, 1328억원 순매도했다.
지난 한 주간 국내 증시는 FOMC 기준금리 인상과 더불어 미국 지역은행들에 대한 위기감 속에 ‘눈치 보기’ 장세를 나타냈다. 앞서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 올린다고 밝혔다. 다만, 성명서에는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문구가 삭제됐다. 그 대신 ‘누적된 통화정책이 실물경제에 미칠 여파를 점검하겠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우리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면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그러한 관측이 대체로 맞는다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하다. 우리는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이면서 시장의 기대감을 경계했다.
이에 대해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가능성은 더는 새로운 재료가 아니라는 인식이 작용했기 때문에 시장은 FOMC보다 경기 하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지방은행 사태 여파가 이어지고 있고, 여전히 미국의 고용시장이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이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을 인수하기로 결정하면서 한숨을 돌린 것도 잠시, 팩웨스트 뱅코프 주가가 지난 4일(현지시간) 50.62% 폭락한 후 이튿날 81.70% 상승하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팩웨스트 뱅코프는 그간 퍼스트리퍼블릭에 이은 위기 은행으로 지목받아 왔다.
또한, 미 노동부가 지난 5일(현지시간) 발표한 노동시장 지표에 따르면 4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25만3천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의 예상치인 18만명 증가를 웃돌았다. 4월 실업률은 3.4%로 전월의 3.5%에서 소폭 하락해 시장 예상치인 3.6%도 밑돌았다.
출처: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0806635606624&mediaCodeNo=257&OutLnkChk=Y
'뉴스 와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 CEO "소송, 6개월 내 승리한다 승소해도 美 암호화폐 산업, 글쎄" (1) | 2023.05.09 |
---|---|
코인원 온버프(ONIT)가 상장합니다. (0) | 2023.05.09 |
2023/04/28(금)뉴스와 이슈 (0) | 2023.04.28 |
4월27일 이슈 내용 요약 (0) | 2023.04.27 |
개발을 중단한 모든 암호화폐 상장폐지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