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3.0은 단지 금융의 변화가 아닌 ‘인터넷의 진화’ 임. ▪️ 블록체인은 단지 장부가 아닌 ‘컴퓨터 그 자체’ 임. ▪️ 암호화폐는 단지 새로운 금융 시스템이 아닌 '새로운 컴퓨팅 플랫폼’ 임. ▪️ 웹 1.0과 웹 2.0가 정보와 출판을 민주화했다면, 웹 3.0은 소유권을 민주화함. ▪️ 사용자는 웹 2.0 플랫폼에 비해 웹 3.0 플랫폼에서 더 많은 권한을 누리고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웹 3.0은 인터넷 통합이라는 트렌드 속에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고 있음 ▪️ 암호화폐 시장은 겉으로는 혼란스러워 보이나 그 기저에는 질서가 존재함 ▪️ 금융 경기의 상승과 하락에 관계없이 훌륭한 상품은 언제나 탄생하기 마련임. ▪️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이제 유튜브가 매년 소비하는 에너지의 0.001%를 소비. ▪️ 미국은 웹 3.0 산업에서 주도권을 잃고 있음. ▪️ 투기 기간이 끝나가면서 NFT 구매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음.
웹 3.0 사업을 영위하거나 탐색 단계에 있는 브랜드를 분석한 NFT Tech 보고서의 주요 내용입니다:
▪️ 주요 브랜드의 웹 3.0 프로젝트 중 40%가 1년 이상 지속되고 있음. 이는 웹 3.0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의미함 ▪️ NFT는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IP 소유자가 고객 재참여를 유도하고 수익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선호되는 웹3.0 기술로 부상함. ▪️ 메타버스 기술은 주로 마케팅 및 이커머스에 사용됨. ▪️ 2023년에도 브랜드들은 열악한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웹 3.0 프로젝트를 출시하거나 관련 상표를 출원하고 있음. ▪️ 2023년 1분기에 시작된 프로젝트 수는 2022년 4분기에 비해 증가함. ▪️ 웹 3.0 기술은 빠른 수익 창출의 기회보다는 주로 참여 및 새로운 인구 통계 집단과 소통하기 위함임. ▪️ 시가총액은 암호화폐가 NFT에 비해 70배 가량 더 큼에도 불구하고, 채택률은 NFT가 암호화폐보다 훨씬 높음. ▪️2023년 현재까지, 웹 3.0 출시를 위해 가장 선호되는 네트워크는 폴리곤임. ▪️ 2022년에 웹 3.0 프로젝트를 시작한 브랜드 중 25%(72개 브랜드)가 유통/소매 업종임. 그리고 72개 브랜드 중 58%는 패션 브랜드로 나타남. ▪️ 2022년에는 스포츠 브랜드가 웹 3.0 산업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했지만, 2023년 1분기에는 유통/소매 브랜드가 그 자리를 대신함.